*
이때
*
*함수를 값으로써 반환 가능함
처치 숫자에
앞과 비슷한 방법으로 아래의 연산을 구현
:
가장 기본적인 루프(반복문) :
람다 함수
합성함수에 관해 수학시간에 배우게 되었다. 나의 꿈인 프로그래밍과 관련된 컴퓨터 토픽과 함수와 관련한 내용을 탐구하던 와중, 람다 대수에 관해 알게되었고, 그중에서도 합성 함수와 비슷한 개념으로 숫자와 진리 값 등을 정의하는 등 흥미로운 부분이 많아서
이렇게 발표하게 되었다.
고1에 들어오면서 조각적 정의로 쓰여진 함수등 복잡한 함수가 많아졌는데,
람다 대수를 탐구하며 함수에 관련한 이해가 늘어난 것 같다.
by 10315 이도이
이제 함수 그 차제가 값으로 반환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으니, 더욱 심화 단계의 람다 대수에 진입할 수 있습니다.
두 처치 숫자가 같거나 한쪽이 큰지 알려면 한쪽에서 다른 한쪽을 뺀 뒤 $\text{IsZero}$ 함수로 연산하여 알 수 있다.
알파-동치에 의해 처음 식과 베타-축약의 결과가 같으므로, 위 람다 항은 무한히 반복된다. 하지만, 위 루프는 실제로 사용할 쓸모가 없다. 단순 반복 이외에 다른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.